혜진 12

[호붕싸 모각코 12차] 합병정렬 (Merge Sort)

작성자임혜진소 감머지소트는 분할 정복으로 착착 정렬되는 모습이 직관적이라 재미있다. 코드 구현도 어렵지 않다.마지막 모각코라서 아쉬웠다. 지금까지 모각코를 수행하니 혼자 공부하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을 공부할 수 있었고 글로 정리하며 서로 공유할 수 있어서 좋았다.일 시2025. 3. 10. (월)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신수민, 임혜진, 배세은, 김윤희 (총 4명)사 진 📍 합병정렬 (Merge Sort)합병 정렬은 Divide & Conquer (분할정복) 방식을 기반으로 한 정렬이다. 배열을 쪼개고 쪼갠 뒤 합치는(merge) 과정에서 정렬이 된다. 그래서 Merge Sort이다. 📍 C++ 구현 코드class Solution {public: ..

혜진 2025.05.23

[호붕싸 모각코 11차] 정렬알고리즘 #2 선택정렬 (Selection Sort)

작성자임혜진소 감음 선택정렬은 이해도 구현도 좀 쉽다.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한다 선택정렬. 알고리즘을 앞으로 더 꾸준히 해보아야겠다.일 시2025. 5. 16. (금)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신수민, 임혜진, 배세은, 김윤희 (총 4명)사 진 📍 선택정렬 (Selection Sort)가장 작은 값을 찾아 선택한다. 정렬되지 않은 배열의 첫 번째 원소부터 현재 원소이고, 그 뒤의 모든 원소를 비교해가며 가장 작은 원소를 찾는다. 가장 작은 원소를 현재 원소와 교체한다. 그러면 점점 앞에서부터(가장 작은 수부터) 순서대로 정렬되어간다.우리가 실제로 실물 카드를 정렬한다고 했을 때, 선택정렬을 사용할 사람은 없을 것 같다. 가장 작은 수를 찾아서 앞에다가 놓아가..

혜진 2025.05.16

[호붕싸 모각코 10차] 정렬알고리즘 #1 삽입정렬 (insertion Sort)

작성자임혜진소 감음 간단한데 은근.. 어려운 삽입정렬. 뭔가 다른 정렬들은 딱 특징이 드러나는데 삽입정렬은 어떻게 하는거였지? 구현을 시작할 때 잘 생각이 안난다. 이전에 배운 내용을 복습하는 시간을 가져서 좋았다. 일 시2025. 5. 9. (금)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신수민, 임혜진, 배세은, 김윤희 (총 4명)사 진 📍 삽입 정렬 (Insertion Sort)삽입 정렬은 실제로 내가 카드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더 이해가 쉬운 것 같다. 정렬되지 않고 나열된 카드 중 두 번째 카드를 들어 손에 쥔다. 그러면 내가 두 번째 카드를 들고 있으므로 두 번째 칸이 빌 것이다. 바로 앞의 카드와 비교하여 내가 들고 있는 카드보다 크다면 앞 카드를 한 칸..

혜진 2025.05.16

[호붕싸 모각코 9차] Image Captioning (3)

작성자임혜진소 감평소에 알고리즘 문제 위주로 풀었는데, 오늘은 멀티모달 인공지능 수업 때 배웠던 내용을 정리하고 복습해보았다. PDF를 보면서 다 이해했다고 생각했는데, 다시 말로 정리를 하려니까 내가 잘 모르고 있었던 부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이렇게 정리하면서 공부를 많이 해봐야겠다.일 시2025. 5. 2 (금) 18:00 ~ 21:00장 소미래관 306호 과방참가자 명단신수민, 임혜진, 배세은, 김윤희 (총 4명)사 진 1. Drawback of Seq2Seq Architecture지난 시간 배웠던 Seq2Seq 아키텍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Encoder에서 Decoder로 넘겨주는 정보가 마지막 hidden state, 즉 하나의 임베딩 벡터 뿐이므로 문장이 길어질 ..

혜진 2025.05.02

[모각코 8차] 백준 C++ #11726 2xn 타일링

작성자임혜진소 감학기 중에는 알고리즘 공부를 하기 힘든데, 모각코를 통해 백준 문제를 꾸준히 풀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 이제 시험기간이지만 모각코 시간만큼은 알고리즘에 시간을 내서 공부해서 뿌듯했다!일 시2025. 4. 10. (월)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신수민, 임혜진, 배세은, 김윤희 (총 4명)사 진  📍알고리즘 분류: DP 동적 프로그래밍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나눌 수 있으며 작은 문제에서 구한 정답은 그것을 포함하는 큰 문제에서도 동일할 경우 DP를 사용한다.📍문제 풀이:처음에는 조합(Combination)을 이용한 수식으로 문제에 접근했다. 문제에서 높이는 2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2xn 타일을 쪼개보면 타일을 구성할 수 있는 경우는 '2x..

혜진 2025.04.12

[모각코 7차] 하노이탑 백준 알고리즘

작성자임혜진소 감하노이탑 문제를 반복해서 푸니 이제 좀 더 익숙해진 것 같다. 기본기에 더 충실할 수 있도록 재귀공부할 땐 하노이탑을 먼저 풀어보아야겠다!일 시2025. 4. 4. (월)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신수민, 임혜진, 배세은, 김윤희 (총 4명)사 진  📍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914 📍 알고리즘 분류 : 재귀 📍 문제 풀이 :알고리즘 시간에 배웠던 내용과 코드를 기반으로 하노이탑 문제를 풀었다. 옮긴 횟수를 출력하는 것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렸다. 처음에는 재귀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카운트를 해가며 구했는데, N 📍 코드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

혜진 2025.04.04

[Boj] 백준 C++ #1202 보석 도둑

작성자임혜진소 감우선순위 큐를 활용하는 것이 익숙치 않아 생각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어떤 것을 기준으로 탐색해야 할지, 어떤 것을 기준으로 정렬해야 할지 생각하는 것이 너무 어려웠다. 정답 코드를 살핀 후 나중에 다시 문제를 풀어 정답을 맞췄다. 정답을 보고 이해하면 그렇구나 싶은데 처음 문제를 접해서 바로 아이디어를 떠올리기는 매우 어려운 것 같다. 'n번째 가방에 담을 수 있는 보석은 n+1번째에도 담길 수 있다'라는 우선순위 큐의 핵심 아이디어가 신기했다. 당연한 것인데 이를 떠올려 활용하기가 쉽지 않았고 기발했다.일 시2025. 3. 10. (월)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신수민, 임혜진, 배세은, 김윤희 (총 4명)사 진  📍문제 링크https://..

혜진 2025.03.31

[호붕싸 모각코 5차] C++ #1339 단어 수학

작성자임혜진 소 감알파벳 배열을 정렬하는 부분이 가장 신기했다. 인덱스 값을 무시해도 최댓값을 구하는 해답은 도출해낼 수 있다. 다음주에도 알고리즘 문제를 풀려고 한다. 다음주에는 시간도 정해서 풀어보아야겠다.일 시2025. 3. 24. (월)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신수민, 임혜진, 배세은, 김윤희 (총 4명)사 진  📍 문제 링크https://www.acmicpc.net/problem/1339 📍 알고리즘 분류그리디 📍 문제 풀이직관적으로 높은 자리에 큰 수가 와야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단어가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어떤 단어에서는 높은 자리수의 알파벳이 다른 단어에서는 가장 낮은 자리수에 위치해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단어를 종..

혜진 2025.03.24

[호붕싸 모각코 4차] CNN

작성자임혜진소 감멀티모달인공지능 수업 Unimodal Representation: Image를 복습하며 CNN에 대해 대략적으로 정리해보았다. 수업내용을 모각코 시간에 복습하며 정리하고, 같은 수업을 듣는 친구들과 함께 질의응답하며 공부할 수 있어 좋았다. 일 시2025. 3. 21. (금)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신수민, 임혜진, 배세은, 김윤희 (총 4명)사 진 🌟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합성곱 신경망)은 이미지 처리에 널리 사용되는 딥러닝 모델이다. Convolution Layer와 Pooling Layer를 반복적으로 거치며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한 뒤, 이 특징들을 가지고 Fully Connected Layer에서 ..

혜진 2025.03.22

[호붕싸 모각코 3주차] 백준 C++ #2138 전구와 스위치

작성자임혜진소 감오늘 푼 문제는 그리디 알고리즘이었는데 어려웠다.. 이번엔 혼자 힘으로 풀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풀이를 많이 참고해서 풀었기 때문에 다음달 정도에 다시 이 문제를 풀어보고 싶다. 모각코를 통해 집중해서 다같이 공부해서 좋았다. 다음 시간에는 학부 수업 공부 블로깅을 해보아야겠다.일 시2025. 3. 17. (월)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신수민, 임혜진, 배세은, 김윤희 (총 4명)사 진    📍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2138 📍 알고리즘 분류 : 그리디 알고리즘 📍 문제 풀이 신기한 점이 어떤 전구를 먼저 켜고 끄든,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따라서 우리는 첫 번째 전구부터 순서대로..

혜진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