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민 12

[호붕싸 모각코 12차]

- 오라클의 주요 파일 구조 1. 데이터 파일 (Data File)운영체제 상에서 물리적으로 존재사용자 데이터와 객체(테이블, 인덱스 등)를 저장테이블과 인덱스로 구성되어 있음2. 온라인 리두 로그 (Online Redo Log)데이터 변경 사항을 모두 기록데이터베이스 장애 복구 시 사용됨최소 두 개의 리두 로그 파일이 필요 (순환 구조로 기록됨)3. 컨트롤 파일 (Control File)오라클이 필요로 하는 다른 파일들의 위치 정보 저장데이터베이스 수준의 변경 사항 발생 시 자동 업데이트DB 마운트 및 복구 시 필수로 필요한 파일 - 오라클 저장 영역 구조>>> Tablespace → Segment → Extents → Block Tablespace: 논리적인 저장 영역 (ex. USERS, SYST..

수민 2025.05.23

[호붕싸 모각코 11차] 서브쿼리와 View

1. 서브쿼리(Subquery) — SQL문 안에 포함된 또 다른 SQL문 서브쿼리란?하나의 SQL문 안에 또 다른 SQL문이 포함된 형태메인 쿼리에서 일부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쿼리종류:중첩 질의 (WHERE절)스칼라 서브쿼리 (SELECT절)인라인 뷰 (FROM절)① 중첩 질의 (Nested Subquery) — WHERE절에서 사용외부 쿼리의 조건절에서 내부 쿼리를 이용해 조건 필터링비교 연산자: =, , != 등 사용 가능집합 연산자:IN, NOT IN: 내부 쿼리 결과 중 포함 여부ALL, SOME, ANY: 조건을 모든/일부 값에 대해 비교EXISTS, NOT EXISTS: 내부 쿼리 결과의 존재 여부 확인IN vs EXISTSIN: 내부 쿼리의 결과 전체를 메모리에 적재..

수민 2025.05.16

[호붕싸 모각코 10차] SQL 고급: 내장 함수 정리

내장 함수란?-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지 않고 DBMS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함수- 주로 SELECT 문에서 사용됨- 결과는 항상 "스칼라(단일 값)"으로 반환되어야 함. 숫자 함수ABS(n)절댓값 반환ABS(-6) → 6ROUND(n, m)n을 소수점 m자리까지 반올림ROUND(3.14159, 2) → 3.14FLOOR(n)n보다 작거나 같은 가장 큰 정수 (내림)FLOOR(4.9) → 4CEIL(n)n보다 크거나 같은 가장 작은 정수 (올림)CEIL(4.1) → 5LOG(n)n의 자연로그 (밑 e)LOG(2.72035) → 1POWER(n, m)n의 m승 반환 (거듭제곱)POWER(4, 2) → 16SQRT(n)n의 제곱근 반환SQRT(16) → 4SIGN(n)양수/음수/0 여부 판단 (n > 0 →..

수민 2025.05.09

[호붕싸 모각코 9차]

SQL 활용 예제 1. 조건에 따른 데이터 조회: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쿼리 SELECT bookname, priceFROM BookWHERE price ▶ 이 쿼리는 가격이 20000원 이하이면서 출판사가 '출판사A' 또는 '출판사B'가 아닌 책을 조회한다. 여러 조건을 결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정확히 추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AND, OR, NOT 등의 논리 연산자는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2. 집계 함수 활용: 집계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SUM, AVG, MIN, MAX, COUNT와 같은 함수는 주로 데이터의 요약 통계를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 SELECT SUM(price) AS Total, AVG(price) AS Average,..

수민 2025.05.02

[호붕싸 모각코 8차]

SQL의 기본 문법 구조SELECT [ALL | DISTINCT] [데이터이름] | * | 수식어 | [AS 수식어명칭]FROM [데이터이름] [AS 데이터이름명칭][INNER JOIN | LEFT (OUTER) JOIN | RIGHT (OUTER) JOIN | FULL (OUTER) JOIN] [데이터이름] [ON 검색조건][WHERE 검색조건(들)][GROUP BY (속성이름, ..., n)][HAVING 검색조건(들)][질의 UNION 질의 | 질의 UNION ALL 질의][ORDER BY (속성이름 [ASC | DESC], ..., n)] SQL:의 기본적인 문법 구조는 위를 따르고 있습니다. 더 깊게 공부한 내용을 밑에 적어 보겠습니다. SELECT 절: SELECT 절은 조회하고자 하는 데이터..

수민 2025.04.11

[호붕싸 모각코 7차]

SQL 명령어의 종류 1.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 : DDL은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의 구조를 정의하거나 변경하는 데 사용• CREATE: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을 생성-- 데이터베이스 생성CREATE DATABASE mydb;-- 테이블 생성CREATE TABLE books ( id INT PRIMARY KEY, title VARCHAR(100), author VARCHAR(50), price DECIMAL(10, 2));• ALTER: 테이블 구조를 변경-- books 테이블에 author 열 추가ALTER TABLE books ADD COLUMN author VARCHAR(50);-- books 테이블에서 price 열 삭제ALTER ..

수민 2025.04.04

[호붕싸 모각코 6차]

SQL이란?-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조작하기 위해 설계된 언어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에서 주로 사용되며 MySQL, PostgreSQL, Oracle, SQL Server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에서 표준적으로 활용- SQL을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삭제하고 수정하거나 조회하는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음 - SQL의 가장 큰 장점: 직관적이고 선언적인 언어ㄴ 사용자가 “어떤 데이터를 원하는지”만 정의하면 데이터베이스 엔진이 이를 처리하는 방법을 알아서 찾아 줌ㄴ ex: “모든 책의 제목을 조회해줘”라는 요청을 SQL로 작성하면 데이터베이스는 이를 처리해서 결과를 반환  SQL 실행 ..

수민 2025.03.31

[호붕싸 모각코 5차]

관계대수: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찾은지에 대한 처리 절차를 명시하는 절차적 언어 그렇다면 관계대수식은?→ 대상이 되는 릴레이션과 연산자로 구성되어 릴레이션을 반환함  관계대수 연산자 1. 기본 연산자 (순수 관계 연산자)기본적으로 데이터를 검색하고 조작하는 데 필요한 핵심 연산자들입니다.① SELECT (σ, 시그마) – 튜플(행) 선택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레코드)을 선택하는 연산연산 기호: σ(조건)(릴레이션)예시:σ 나이 >= 30 (직원) → 직원 테이블에서 나이가 30 이상인 직원만 선택② PROJECT (π, 파이) – 속성(열) 선택특정 속성(열)만 선택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반환하는 연산연산 기호: π(속성 리스트)(릴레이션)예시:π 이름, 나이 (직원) → 직원 테이블에서 이름과 나이..

수민 2025.03.24

[호붕싸 모각코 4차]

무결성 제약 조건 ① 데이터 무결성: DB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지킴  ② 도메인 무결성 제약 조건 (대상: 속성): 릴레이션 내의 투플들이 각 속성의 도메인에 지정된 값만 가져야 함 (ex: type, null, check ...)ㄴ 릴레이션 내 이 제약 조건은 속성의 개수와 동일 → 그래서 투플 삽입, 수정 시 제약 사항 우선 확인해야 함  ③ 개체 무결성 제약 조건 (= 기본키 제약): 기본키는  NULL값을 가져서는 안 됨 + 릴레이션 내 오직 하나의 값만 준비해야 함ㄴ 삽입 시: 기본키 값이 같으면 삽입 거부당함ㄴ 수정 시: 기본키 값이 같게 수정할 수 없고, NULL로 수정할 수 없음ㄴ 삭제 시: 특별한 확인 없이 즉시 수행시킴  ④ 참조 무결성 제약 조건 (=외래키 제약): 자..

수민 2025.03.23

[호붕싸 모각코 3차] 관계 데이터 모델

릴레이션 (relation):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 관계 (relationship): 연결된 것들을 가져옴 → 첫 번째 행 (1, 축구의 역사, 굿스포츠, 7000)의 경우, 네 개의 집합에서 각각 원소 한 개씩 선택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이 원소들이 관계 (relationship)을 맺고 있다. 릴레이션 스키마와 인스턴스cardinality = 투플의 수속성 = 릴레이션 스키마의 열도메인 =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집합차수 = 속성의 개수투플이 가지는 속성의 개수는 릴레이션 스키마의 차수와 동일릴레이션 내의 모든 투플들은 서로 중복되지 않아야 함릴레이션의 특징속성은 단일 값을 가짐속성은 서로 다른 이름을 가짐한 속성의 값은 모두 도메인 값을 가짐속성의 순서는 상관없음릴레이션 내의 중복된 투플은 허..

수민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