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MS의 기능
- 데이터 정의: 데이터 구조 정의, 데이터 구조에 대한 삭제 및 변경 기능 제공
- 데이터 조작: 응용 프로그램이 요청하는 데이터의 삽입, 수정, 삭제 작업 지원
- 데이터 추출: 사용자가 조회하는 데이터 추출
- 데이터 제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생성, 접근 제어 + 백업과 회복, 동시성 제어 기능 지원
데이터 모델
→ 현실에 있는 대상을 컴퓨터로 표현하기 위한 모형
- 계층 데이터 모델: 포인터 사용 + 트리 구조
-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포인터 사용 + 그래프 구조
- 관계 데이터 모델: 속성 값 사용
- 객체 데이터 모델: 객체 식별자 사용
- 객체 - 관계 데이터 모델: 관계 + 객체 장점을 합침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
- 외부 스키마
- 외부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DB 정의
- 일반 사용자, 응용 프로그래머 접근 가능
- 여러 개일 수도 있고, 뷰(read only)의 개념
- 개념 스키마
- 전체 DB에 어떤 데이터, 관계, 제약 조건, 보안 정책, 접근 권한이 존재하는지
- 통합 조직별 1개 존재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개인 스키마 존재), DBA가 관리
- 외부 스키마의 데이터가 개념 스키마의 어느 부분에서 해당되는지를 대응
- 내부 스키마
- 물리적 저장 장치 (실제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 물리적인 구조)에 데베가 실제로 저장되는 방법의 표현, 실제 구현 위해 자세히
- 개념 스키마의 데이터가 내부 스키마의 물리적 장치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저장되는지 나타냄
데이터 독립성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외부 - 개념)
-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 스키마에 영향을 주지 않음
- 논리적 구조가 변경되어도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음
- 개념 스키마에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변경해도 외부 스키마가 직접 다루는 테이블이 아니면 영향을 주지 않음
-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개념 - 내부)
- 저장 장치 구조 변경과 같이 내부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개념 스키마에 영향을 주지 않음
- 성능 개선을 위해 물리적 저장 장치를 재구성해도 개념스키마와 외부스키마에 영향을 주지 않음
- 논리적 독립성보다 구현하기에 쉬움
작성자 | 신수민 |
소 감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핵심 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특히 데이터 독립성 부분을 공부할 때 어느 부분이 어떻게 오류가 날 것 같을지를 상상하며 실무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어 좋았다. |
일 시 | 2025. 3. 14. (월) 18:00 ~ 21:00 |
장 소 | 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 |
참가자 명단 | 신수민, 임혜진, 배세은, 김윤희 (총 4명) |
사 진 | ![]() ![]() |
'수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붕싸 모각코 6차] (0) | 2025.03.31 |
---|---|
[호붕싸 모각코 5차] (0) | 2025.03.24 |
[호붕싸 모각코 4차] (0) | 2025.03.23 |
[호붕싸 모각코 3차] 관계 데이터 모델 (0) | 2025.03.17 |
[호붕싸 모각코 1차] 데이터베이스 소개와 시스템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