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

[호붕싸 모각코 8차] 컴퓨터네트워크 복습

y_unique 2025. 4. 11. 19:52
작성자 김윤희
소 감 다음 주에 있을 컴네 퀴즈를 대비하여 친구들과 함께 컴퓨터네트워크 복습을 진행하였다. 미리 들은 친구도 있고, 같이 듣는 친구도 있어서 조언도 받고 질문도하며 효율적인 공부를 할 수 있어서 좋았다.
일 시 2025. 4. 11. (월) 18:00 ~ 21:00
장 소 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
참가자 명단 신수민, 임혜진, 배세은, 김윤희 (총 4명)
사 진

 

 

 

 


Access Network and Physical Media

  • access network
    • cable-based access
      • 한 개의 cable을 여러 사용자, 서비스가 주파수 대역을 나눠서 사용
      • HFC (hybrid fiber coax) → 비대칭적인 특징 (다운로드와 업로드 속도가 달라)
      • 여러 가정이 하나의 cable net을 공유
    • Digital Subscriber Line (DSL)
      • 전화선을 사용해서 인터넷과 전화를 동시에 사용
      • 비대칭 구조
    • home networks
    • enterprise networks
      • ethernet : 여러 장치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장치
      • wifi : 무선으로
    • wireless access netoworks
      • WLANs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보통 건물 내부나 주변에 사용
      • Wide-area cellular access networks
  • client와 인터넷 백본 사이의 연결을 담당
  • Physical Media
    • Links : 송수신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
      • 어떻게 전달되느냐에 따라 두가지로 나뉨
        • guided media
          • 신호가 물리적 경로를 따라감~
        • unguided media
          • 신호가 공기, 진공에서 자유롭게 전파
      • Twisted pair : 네트워크에서 가장 널리쓰이는 유선매체래
        • 두개의 구리선을 꼬아서 사용
      • Coaxial cable
        • 2개의 구리도체, 양방향 전송, 여러개의 주파수 채널 사용
      • Fiber optic cable
        • 광섬유, 유리나 플라스틱 섬유로 빛을 통해 전달, 초고속, 신호감쇠가 적어서 멀리있어도됨

The Network Core

  • router는 mesh구조

packet-switching

  • 효율, 유연
  • 각 패킷은 링크의 전체 대역폭을 사용 → 독립적으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이동
  • Store-and-forward
    • 라우터가 패킷을 저장하고 전체 패킷이 도착한 후 다음 링크로 전송 → 완전히 수신된 후에만 전송
    • 부분적으로 도착하면 전송 시작을 안 해 → 대기시간 발생 2L / R
  • Queueing delay
    • 패킷이 라우터에서 전송대기중인 시간
  • loss
    • 라우터의 메모리가 가득 찼을 때 추가적인 패킷이 들어오면 걘 loss

Two key network-core func

  • forwarding
    • local
    • 패킷이 라우터에 도착하면 적절한 출력 링크로 전송
  • routing
    • global
    • 패킷이 네트워크를 이동할 때, 어떤 경로를 따라가야하는지 전체적으로 결정하는 작업 (출→목 까지 최적의 경로)

circuit switching

전화에서 주로 사용

end-to-end 를 할당하고 예약함

no sharing

보장된 성능

  • FDM
    • 전자스펙트럼을 여러 개의 좁은 주파수 대역으로 나눔
    1. 고유한 주파수 대역 할당 → 최대 전송 속도 가능
    2. 고정 → 끊임없이 사용가능, 예측 가능한 성능
    but, 사용자가 많으면 자원낭비
  • TDM
    • 시간을 slot으로 나누어 각 호출에 일정한 시간을 할당
      1. 정기적 시간 동안만 최대 속도 가능
      2.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 여러 사용자가 같은 대역 → 자원 공유 가능
      but, 지연발생가능성이 있으며 slot이 없는 시간동안에는 데이터 전송 x

Packet switching vs Circuit switching

  • packet
    • bursty data (불규칙적인)인 경우 효율적
      • 가끔 한 번에 많은 데이터거나, 어떨 때는 아예 안 보내는거 ex) 이메일, 메시징 등
    • 자원 공유
    • simple
      • call setup 과정이 없어도 됨
    단점
    • 혼잡시 delay, loss 발생
  • circuit
    • 전송 중에 회선 자체가 한 사용자만을 위해 독점
    • 낭비가 생길 수 있지만
    • 지연이 일정하고 안정적